지구처럼 생명체가 사는 행성은 어떤 조건에서 가능할까?

NEWS TOPIC/Science 2015. 1. 29. 13:31

지구처럼 생명체가 사는 행성은 어떤 조건에서 가능할까?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소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행성이라고 해서 지구같은 행성이라고 할 수 있을까.

태양계 바깥의 외계 행성은 1990년대에 처음 발견됐다. 이 때부터 ‘지구같은 행성’을 찾는 일은 천문학자들의 꿈이 됐다. 정보기술매체 아르스테크니카는 이번주 미국천문학협의회(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학술대회에서 작은 크기의 행성일수록 지구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다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하버드대학 스미스소니언센터 연구진은 하프스(HARPS)라는 행성탐색기로 크기가 지구와 비슷해 ‘슈퍼 지구’로 불리는 외계행성 ‘케플러-93b’(Kepler-93b)를 연구했다. 이 외계행성은 지구의 1.5배 크기에 질량은 4.02배에 달한다.

연구진은 이 행성의 크기와 질량 덕분에 행성이 지구와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아르스테크니카는 “지구처럼 크기와 중량이 작은 행성들은 지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서 “지구와 금성을 살펴봐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구와 금성은 암석으로 된 ‘맨틀’과 금속성 물질로 구성된 ‘핵’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큰 행성들은 밀도가 낮고 물, 수소, 헬륨 등으로 되어 있다.

연구진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케플러-93b에 생명체가 살 수도 있는 바다가 수십억년 동안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해선 물이 필수적이다. 지구의 바닷물은 순환을 한다. 바다에서 지질 활동에 따라 맨틀로 물이 들어가고, 화산활동으로 맨틀에서 다시 바다로 물이 순환할 수 있다.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이러한 순환이 케플러-93b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의 컴퓨터 모델링에서 지구 질량의 2~4배 크기 행성에서는 100억년 정도 바다를 품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보다 5배 이상 질량이 큰 행성에서는 약 10억년 정도 바다가 생기지 않았지만, 한 번 생성되면 긴 기간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외계행성이 지구와 비슷한 크기라고 해서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연구진은 “항성으로부터 거리와 행성의 기온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구에서 3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케플러-93b’는 우리 태양 질량의 90%를 가진 항성을 돌고 있다. 크기가 지구와 유사해 유력한 슈퍼지구 중 하나로 꼽힌다.

 

기사 UR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1061538071&code=610101

케플러 망원경, 외계 생명체 후보 행성들을 찾아냈다!

NEWS TOPIC/Science 2015. 1. 29. 13:27

 케플러 망원경, 외계 생명체 후보 행성들을 찾아냈다!

 

 

케플러-10 시스템은 3개의 알려진 행성들과 함께 최근 SETI가 전파 신호를 찾고 있는 대상 중 하나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생명체 조건 갖춘 86개 선정... 연구 착수 

‘이 우주에서 지구에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엄청난 공간의 낭비다’라는 명언은 '코스모스'의 저자 칼 세이건이 지구 외의 이 우주 어디엔가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한 말이다.

이 같은 믿음에서 출발한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에 나선 SETI(Search for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프로젝트가 최근 지적 생명체가 보내는 전파신호 발신 후보 행성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다고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1960년 프랭크 드레이크가 프로그램을 시작한 SETI는 지금까지 약 60여 개의SETI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SETI 프로젝트에서는 외계 지적 생명체가 보내오는 전파 신호를 찾기 위해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은 매일 우주로부터 50Gbyte 분량의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현재에도 불사조 프로젝트, SETI@home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SETI가 분석에 착수한 이 후보 행성은 모두 86개로,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찾아낸 행성들이다. 물론 아직까지 찾아낸 전파신호는 없지만, 웨스트버지니아의 그린뱅크 망원경을 사용한 광대역 관측으로 유력한 케플러 천체 대부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압히마트 가우탐에 따르면 이 86개의 별들은 2011년까지 케플러가 발견한 것들로, 생명체가 서식하기 위한 조건들을 갖추었음직한 행성들을 가지고 있어 선택됐다. 최근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 학부를 졸업한 가우탐은 버클리 SETI 연구센터 일원으로 지난 6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열린 224차 여름 회의에 연구 결과를 제출했다.

2011년까지 케플러는 1,235개의 행성 후보들을 발견했다(2014년 12월 31일 현재 그 숫자는 4,183개로 늘어났고, 그중 996개는 행성으로 확인되었다). 

앤드류 시미언을 비롯해 버클리 SETI 연구센터의 다른 과학자들과 공동작업한 가우탐은 86개의 후보 행성들을 골라냈는데, 대체로 표면 온도가 섭씨 영하 50도에서 영상 100도 사이, 크기는 지구 반지름의 3배 이하, 공전 주기는 50일 이상인 행성들이다. 생명체가 출현할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갖춘 행성 표면이란 적당한 온도에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런 조건들이 바로 모성 둘레의 거주 가능 구역에서 그러한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린뱅크 망원경(GBT)은 세계 최대의 완전 가동 전파망원경으로서, 광대역 전파신호를 사용해 모성들을 발견했다. 이전에 과학자들은 협대역 전파신호를 사용해 케플러 필드에서 모성을 찾았으나 성공하지 못했던 것이다.

별들 사이의 우주공간에는 가스나 먼지 같은 성간물질들이 있어 전파를 분산시키는데, 그러한 전파 지연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전파원까지의 거리를 대략적이나마 산정하여 그들과의 교신을 모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광대역 전파는 의도적인 교신에 보다 선호되는 것이기도 한다.

 

기사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81&aid=0002505541

보잉크 매니저 프로그램의 기능 필수 숙지 사항!

SETIKAH@KOREA TEAM 2015. 1. 21. 16:11
보잉크 매니저 프로그램의 기능 필수 숙지 사항!

 

 
프로젝트 탭
 

 

 

 

보잉크 프로젝트를 참여하시면서 꼭 필수적으로 보잉크 매니저 프로그램의 중요한 기능메뉴를 숙지하신다면 추후에 여러가지 문제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탭
프로젝트 - 자신이 계정가입 한 프로젝트명입니다. 임의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추가하였을경우에만 나타납니다.
계정 - 해당 프로젝트에 가입한 계정의 닉네임입니다. 되도록이면  프로젝트마다 통일된 영문 닉네임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참여하는 해당 프로젝트의 소속팀입니다. 프로젝트별로 팀을 개별 등록해야합니다. 특정 프로젝트에 팀이 없다면 가입을 안했다는 뜻.
완료된 작업 - 해당 프로젝트에서 작업한 그동안의 토탈 크레딧입니다.
평균 완료된 작업 (RAC - Recent Average Credit)
- 크레딧 적립의 평균을 산출. 해당 평균치가 높을수록 활동량과 토탈 크레딧이 계속 적립되고있음을 의미.
업데이트 - 완료된 유닛 업로드, 새 유닛을 다운 받고자 할때, 크레딧정보 갱신을 위한 용도로 자주 사용 됩니다.
일시 정지 - 해당 프로젝트를 일시정지시킵니다. 시작대기중/실행중인 유닛 모두 일시정지됩니다.
새 태스크 금지 - 해당 프로젝트의 새로운 유닛을 더이상 다운로드 받지않게 금지시킵니다. 작업중인유닛은 계속 작업합니다.
⑨ 프로젝트 다시 설정 - 프로젝트를 다시 초기화 시킵니다. 다운받은 해당 프로젝트유닛이 모두 삭제 되어 새로운 유닛을 받게 됩니다.
제거 - 해당 프로젝트를 제거하게 됩니다.
속성 - 해당 프로젝트의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보여줍니다.
 
 
 
 
태스크 탭
 

 

 

 

작업탭은 자신의 컴퓨터에서 작업중인 프로젝와 유닛들의 대한 실시간 작업상황을 보여줍니다.
 
그래픽 보여주기
특정 프로젝트에서 작업중인 유닛의 대한 자세한 상황을 보여주는 경우에는, 그래픽 보여주기에서 그래픽분석 화면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분석 화면 또 한 CPU 리소스를 사용하기때문에 실시간 유닛작업 속도가 다소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일시 정지
해당 특정 유닛을 클릭하여 일시정지 버튼을 누르면 해당 유닛은 더이상 작업을 중단하게됩니다.
 
중단
선택한 유닛을 취소시킵니다.
한번 취소가 이루어지면 더이상의 작업은 안하게되며, 해당유닛은 삭제가 됩니다.
취소된 유닛의 대한 정보를 삭제가 되려면 프로젝트 탭에서 업데이트 시킵니다. 혹은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되어 정보가 삭제됩니다.
 
 
이벤트기록
 
이벤트 로그는 보잉크 프로젝트 작업중, 프로젝트의 상태, 프로젝트의 서버등 각종 작업의 간략한 상태를 살 펴 볼수 있는 용도로 주로 활용됩니다.

 

 

 

 

 

프로젝트 작업에 문제가 생겨, 해결을 하고 싶은 경우는 가능하면 Copy All (모든 메시지 복사)를 눌러 게시판에 붙여넣기하여 질문글 작성해 주시면 문제해결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작업 유닛 별로 융통성있는 크레딧

BOINC는 기본적으로, CPU 속도 및 CPU 작업 시간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당한 양의 크레딧을 작업완료된 유닛별로 배당합니다.

 

* 정교하게 설정 가능한 환경 설정

여러분 컴퓨터를 어떻게 사용할지 더 자세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스크 사용량, 네트워크 대역폭, 작업 시간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또, 컴퓨터가 매시간마다 보잉크 서버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는 작업량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런 '환경 설정'은 웹 기반 인터페이스로 관리됩니다. 그리고 그 것은 여러분이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모든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적용됩니다.  

 
* 유닛의 리포트마감시한이란?
각 유닛마다, 리포트기한내에 작업을 완료하여야만 적정한 크레딧을 적립하게됩니다.
리포트시한을 초과하면, 해당 유닛을 완료하여도 크레딧이 전혀 생기지않기때문에 유닛의 리포트시한을 항상 준수하여야합니다.
리포트시한 내에 완료가 어려울것같다는 판단이든다면, 해당 유닛을 언제든지 보잉크매니저 세로메뉴에 '취소' 를 눌러
새로운 유닛을 작업하시면 됩니다.
 
* Pending (검증 대기중, 지연됨)이란?
유닛을 100% 작업 완료하고 업로딩까지 이루어졌지만 크레딧이 쌓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펜딩이 되어 크레딧 적립이 대기중인 상태입니다.
 
유저가 다운로드한 같은 이름의 해당 유닛은 1인 1유닛이아니고, 유닛의 정확한 분석작업을 위해 2인 1유닛의 개념으로 중복작업이 이루어집니다.
A유저가 먼저 해당유닛을 완료하게되면 B유저가 해당유닛을 리포트기한내에 완료하기까지 크레딧지급이 보류됩니다.
그것을 Pending 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B유저가 해당유닛을 리포트기한내에 완료하게된다면 그제서야 A와 B유저 모두에게 크레딧이 지급되어집니다.
 
하지만 리포트마감시한을 넘긴 유닛을 처리한 경우에는 크레딧은 전혀 쌓이지않습니다.
(보잉크 매니저가 자동적으로 리포트마감이 지난 유닛은 불필요한 작업을 중지하고 제거하고, 새로운 유닛을 다운받게 합니다.)

 

 

BOINC 에 대해 이해가 되셨습니까? 블로그 운영자인 저도 최근 가입된 네이버카페를 정리하다 가입해둔지도 모르는 이 카페에 들렸다가 알게되었습니다. 저도 이 글을 포스팅하는 시점이 3일차로 접어든 초보유저에 불과하지만 초보자 가이드와 도움을 주시는 SETIKAH @ KOREA TEAM 에서 활동중이신 유저분들 덕분에 프로젝트를 잘 수행하고 있습니다. 직접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원이 되지 못하더라도 인류 발전과 공공의 이익을 위해, 질적으로 보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보잉크 프로젝트에 참여해보시는 건 어떠신지요? 많은 한국인이 이 프로젝트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게 된다면 엄청나게 오래걸릴 연구를 수시간 내에 발견과 개발을 도모할 수 있어서 매우 흥미롭습니다.

 

희망하시는 분들, 흥미가 있으신 분들은 저희 세티카 코리아팀 네이버 카페에 방문해주십시요. http://cafe.naver.com/setikah/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관련글 읽기 -  2015/01/21 - [SETIKAH@KOREA TEAM] - 보잉크(BOINC)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SETIKAH@KOREA TE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잉크(BOINC)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1) 2015.01.21